-
국내 최초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닻 올려
두꺼운 얼음을 부수며 남극과 북극을 누비게 될 우리나라 최초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드디어 닻을 올렸다.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지난 2004년부터 역점을 두어 추진해왔던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이를 축하하고 쇄빙연구선의 선명(아라온)을 공포하기 위해 6일 인천내항 제1부두에서 쇄빙연구선‘아라온’의 인도명명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 이병석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장, 안상수 인천광역시 시장 등 국회·지자체 및 관계 연구기관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해 역사적인 순간을 축하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2003년도에 남극에서 활동하다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故전재규 대원의 모친인 김명자 여사(52세)가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인‘아라온’선명을 공포해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극지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과 경쟁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면서 "자원·에너지의 보고(寶庫)인 남북극에 대한 탐사·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인도명명식이 끝나면‘아라온’은 오는 12월19일 남극으로 처녀 출항해 약 84일간에 걸쳐 쇄빙능력 시험 및 훈련, 남극 제2기지 후보지에 대한 정밀탐사 등을 수행한 후, 내년 3월12일 인천항으로 다시 입항할 예정이다.
‘전 세계 모든 바다를 누비라’는 의미를 가진 아라온호는 중간 보급 없이 한번에 70일간 약 2만해리(3.7만km)를 항해할 수 있고, 1m 두께의 얼음을 3노트(시속 약 5.6km)로 연속 쇄빙할 수 있는 최첨단 쇄빙 연구선이다.
또한 선수(船首)는 특수 철강재로 일반 선박에 비해 2배 이상 두껍게 만들어졌으며, 연속 쇄빙이 어려운 두꺼운 빙판의 경우 선체의 무게로 얼음을 깨뜨릴 수 있도록 무게 중심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그리고 극한의 날씨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갑판 전체에 열선을 깔았으며, 선체가 얼음에 갇힐 경우를 대비해 좌우로 움직여 얼음을 깰 수 있도록 선수에도 추진기가 장착돼 있고, 선체에는 얼음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물·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아울러, 음파를 이용해 해저 형상을 3차원으로 재생할 수 있는 다중빔 해저지형 탐사기기(Multi-Beam echo sounder)를 비롯한 60여 종의 첨단 장비를 갖춰 극지의 해양생물·지질, 기후변화 연구 등을 전천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헬기(KA-32C / 최대 5,000kg 적재)를 탑재해 쇄빙 연구선이 들어갈 수 없는 지역이더라도 기지 보급 및 남극기지 건설, 각종 탐사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는 그 동안 남극에 기지를 만들어 진출한 20개 국가 중 폴란드와 더불어 독자적인 쇄빙 연구선이 없어 세종기지 보급이나 남극 연구 등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면서, 미래 자원 확보, 남극 제2기지 건설, 북극해 항로 개척 등 우리나라의 미래를 개척하는 데 있어 아라온호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고봉길 기자
2009-11-06
-
한화, 항공기 및 헬기부품 수출 계약
고봉길 기자
2009-11-06
-
현대重, 중국 건설장비 시장 확대 나서
현대중공업이 중국 건설장비 시장 확대를 목표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 주목된다.
회사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10회 베이징 국제 공정기계 전시회(BICES)’에 참가, 굴삭기와 지게차 신모델 전시와 함께 판촉에 나섰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현대중공업 건설장비사업본부 관계자 외에 이례적으로 민계식 부회장과 이충동 기술개발본부장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 건설장비 시장에 대한 회사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일례라 할 수 있다.
2년마다 열리는 BICES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900여 개의 건설장비 업체가 참여하는데 특히 이번에는 거의 모든 중국 공정기계(건설장비) 업계 기업들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9월 중국 장쑤성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회서 선보인 5~30톤급 등 차세대 굴삭기 ‘9시리즈’를 이번 전시회에서도 집중 홍보했다.
‘9시리즈’는 원격관리시스템(Hi-Mate) 등 다양한 편의장치의 대폭 확대와 함께 엔진 출력과 작업 성능이 기존 대비 15% 이상 향상된 장비로, 시연회에서 성능과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며 현지 딜러들을 비롯한 전 세계 고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민계식 부회장은 “신제품 개발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중국 시장을 넓히는 것이 건설장비 분야 제 2의 도약을 이루는 길”이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건설장비 수주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으로 중국 내 건설장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법인의 인력과 조직을 재정비하고 품질관리와 A/S망을 대폭 강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판매 방식과 금융상품 개발로 장비 구매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중국 북경과 장쑤성에 3개의 건설장비 생산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상해에 금융회사와 굴삭기 개발 연구소를 설립해 금융 서비스와 맞춤형 제품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박진형 기자
2009-11-05
-
첨단 계측장비산업분야 도전한다
그간 해외 기술에 의존해온 반도체 계측분야의 기술 개발을 위한 ‘반도체 나노계측기술 개발 포럼’이 지난 3일 선문대학교에서 개최됐다.
국내 반도체 측정·검사(MI : Metrology/Inspection)기술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주제로 국내 반도체 계측분야 관련 출연(연), 산업체, 대학 등의 산학연 전문가 40여명이 모인 이번 행사는 초소형 전자현미경의 제작·응용 연구교류회(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 합동)와 선문대학교 차세대반도체·디스플레이 센터가 공동 주최했다.
반도체 산업의 발전으로 나노 크기의 미세 구조와 그 결함을 측정하는 나노계측장비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생산에서 첨단 계측검사 분야는 전체 반도체 공정에서 단위 공정 수의 50%, 전체 팹 장치 투자 규모의 10~15%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계 최구 수준의 반도체 소자제작 기술을 갖추고도 대부분의 첨단 장비 및 나노계측기술은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자 열린 이번 포럼에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반도체, 동부하이텍 등을 비롯해 출연(연), 대학, 중소기업체 등 20개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가해 △국내 반도체 소자산업의 MI 현황 △국내 MI 장비산업 현황 △MI 연구 활성화를 위한 방안 등에 관해 논의했다.
선진국에 비해 매우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부터 산학연이 적극적으로 협력, 반도체 및 타 정밀산업의 체질강화에 필수 전략산업인 첨단 반도체계측 분야 연구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 참여 기업들의 의견이었다.
그동안 소자업체, 장비업체 등과 국가 연구개발사업 간 연계성이 떨어져 해당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상호교류의 장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포럼을 공동 주관한 표준연 첨단장비기술센터장 박병천 박사는 “올해 초부터 반도체 계측장비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 기술교류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다”며 “산학연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과 관련 인프라를 모아서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간다면 우리나라도 첨단 계측장비산업분야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문대 차세대반도체·디스플레이 센터장 김호섭 교수는 “첨단 반도체계측장비기술은 나노·바이오산업에도 중요한 기반기술”이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에 이어 나노와 바이오 산업분야가 세계 1위로 성장하기 위해 전자빔 기술을 포함한 핵심적 계측장비기술 개발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준연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MI분야 상호교류의 장으로서 학술대회에 MI 분과를 신설, 정기적인 모임을 가질 계획이다.
엄태준 기자
2009-11-05
-
포스코, 상생협력 페스티벌 개최
박진형 기자
2009-11-05
-
[3분기 경영실적] 소디프신소재
소드프신소재가 반도체 및 LCD용 특수가스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지난 3분기 양호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소디프신소재는 지난달 27일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481억원과 161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20%, 영업이익은 2.4% 증가한 실적이다.
하지만, 전분기와 비교해보면 영업이익은 1.6%, 당기순이익은 12.4% 감소했다.
4분기 실적에 대해 KTB투자증권의 민천홍 연구원은 “4분기가 전통적으로 비수기이며, 신공장이 가동된다고 해도 실적에 반영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지만 “신공장의 가동이 본격화 되는 내년에는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OCI(주)는 정순천 부회장을 소디프신소재의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소디프신소재는 공시를 통해 각자 대표이사 하영환氏가 사임하고 정순천氏가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소디프신소재는 정순천∙조백인 대표이사 체재를 구축하게 됐다.
박진형 기자
2009-11-05
-
누리텔레콤, 이태리 가스 원격검침 시장 진출
누리텔레콤(대표 조송만, www.nuritelecom.co.kr)은 이탈리아 가스 1위업체인 ItalGas(www.italgas.it)가 발주한 가정용 수용가 900가구에 가스 원격검침 시스템 구축과 디지털미터교체사업을 추진하는 AMM(Automatic Metering Management) 시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올해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며, 아티스(Atis) 지역 900가구에Mesh RF기술을 이용한 가스 검침기, 집중기, 리피터, 검침 S/W등 원격검침 시스템(제품명: 아이미르) 일체를 현지 통신사업자인 텔레콤이탈리아를 통해 납품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누리텔레콤이 2007년부터 스페인에서 추진하고 있는 가스 AMM프로젝트 추진 실적을 기반으로 이탈리아에서490만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ItalGas 사가 추진하는 가스 AMM 시범 프로젝트를 수주하게 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누리텔레콤의 관계자는 “전기 원격검침 해외수출에 이어 스페인,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가스 원격검침사업 추진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고봉길 기자
2009-11-04
-
LG디스플레이, 中 8세대 LCD 생산라인 투자 계약
박진형 기자
2009-11-04
-
충남, 자동차부품 ‘메카’ 된다
충남테크노파크(원장 김학민, 이하 CTP)가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도약을 위한 첫삽을 떴다.충청남도와 CTP, 양 기관은 지난 3일충남지역을 자동차부품산업 연구개발 메카로 육성하기 위한 예산자동차센터 신축공사에 착공,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내년 상반기 완공되는 예산자동차센터는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리 일원 면적 9,990 ㎡ 부지에 총사업비 200여억원을 들여 오는 2012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이 안에 천안지역 전장관련 특화센터와 더불어 의장·편의 시스템 부품 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 공간, 시험장비, 초도생산시설 등의 공간을 갖추게 된다.이번에 CTP가 고부가가치산업인 자동차·IT 융합산업을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을 목표로 충남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연구개발 수행 능력을 강화할 예산자동차센터 신축 공사에 본격 착수하면서 충남이 국내 자동차부품산업 중심지로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또 CTP는 예산자동차센터가 본격 가동되면 유관기업 R&D 협력사 직원 등 모두 300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CTP 이덕규 자동차센터장은 “이번에 신축되는 예산자동차센터는 인간중심 편의 및 쾌적 시스템 부품개발을 위한 자동차 의장.편의 시스템 부품 개발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자동차센터는 자동차부품 특화를 위해 자동차와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는 IT 융합산업도 시야에 두고 있다.충남지역에는 연간 45만대의 생산시설을 갖춘 완성차 업체와 536개의 부품업체가 소재하고 있다. 자동차센터는 이러한 최적의 입지조건을 바탕으로 산·학·연과 연계한 자동차부품 개발 및 생산지원 체제 통합지원시스템을 갖추고 있다.이 가운데 하나가 기업경영종합정보화시스템 구축 지원사업. 이 사업은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모의실행 분석기법(TAST)을 통해 생산리스크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통한 생산성향상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국내 처음으로 도입됐다.자동차센터는 지난 9월 자동차부품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사적 관리시스템(ERP, MES. 3D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사업에 본격 착수하는 한편 2010년 하반기에는 제조공정 개선 및 설비투자 적정성 검토와 기업경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자동차센터는 충남도가 추진 중인 친환경 무공해 교통수단인 그린카산업 육성계획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자동차센터는 오는 2012년까지 그린카산업 육성 추진체계 및 인프라를 구축한 뒤 핵심기술을 연구개발하고, 2015년까지 중거리 이동용 전기자동차를 상용화 해 그린카산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놓는다는 방침이다.김학민 CTP 원장은 “충남에는 현대모비스, 현대파워텍 등 120여개의 자동차 1차 협력업체가 천안, 아산, 서산, 당진지역을 중심으로 밀집돼 있는데다 서해안 고속도로를 축으로 보령, 홍성, 예산지역의 부품업체 이전이 활발히 진행 중”이라며 “이번 예산자동차센터 신축 공사로 전국대비 의장 및 시트 부품의 60%를 생산하는 관련 부품기업의 R&D 능력이 대폭 강화되는 등 충남 자동차부품산업의 막강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준 기자
2009-11-03
-
STX엔파코, 엔진 핵심부품 공장 준공
신근순 기자
2009-11-03
-
세원셀론텍, 262억 규모 플랜트기기 수주
세원셀론텍(대표이사 박헌강)은 호주 켈로그 조인트벤처 고르곤(Kellogg Joint Venture Gorgon)과 약 262.3억원 규모의 리액터(Reactor, 반응기) 및 압력용기(Pressure Vessel)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계약금액은 최근 매출액 대비 약 8.24%에 해당하며, 계약기간은 2011년 11월 30일까지다. 세원셀론텍의 리액터와 압력용기는 호주 고르곤 가스전 프로젝트(Gorgon LNG PJT)에 주요 기기로 공급될 예정이다.이 프로젝트는 호주 북서해안 가스전 개발사업으로 천연가스를 액화, 정제, 생산하는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세원셀론텍 관계자는 이번 수주 의의에 대해 “호주 청정지역에서 시행하는 환경을 최우선으로 한 프로젝트의 엄격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킨 성과이자, 세계 에너지의 미래를 여는 기념비적 프로젝트에 세원셀론텍이 치열한 기술경쟁을 뚫고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세원셀론텍의 기술력에 대 한 세계적 신뢰도와 지명도를 발판으로 향후 동일 프로젝트에서 추가 수주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경기침체로 지연되었던 대형 프로젝트 발주가 하반기 재개되는 등 현재 되살아나고 있는 해외 플랜트시장에서 세원셀론텍은 오랜 경험과 노하우, 다종·다량 기기에 대한 경쟁력을 통해 입찰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봉길 기자
2009-11-03
-
포스코, 美에 E수송용 고급 강관공장 준공
포스코가 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피츠버그(Pittsburg)에 연산 27만톤 규모의 고급 강관공장을 준공했다. 미국 최대 철강회사인 US스틸 및 강관 제조 경험이 풍부한 세아제강과 합작 설립한 USP (United Spiral Pipe, LLc)는 미국석유협회 공인 에너지 수송용 고급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 강관을 생산Ÿ판매하게 된다. 이날 준공식에는 포스코 정준양 회장과 US스틸의 존 서머(John P.Surma)회장, 세아제강 이운형 회장, 조지 밀러(George Miller) 하원위원, 피츠버그시 낸시 패런트(Nancy Parent) 시장, 샌프란시스코 구본우 총영사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미국은 에너지 수송용 강관의 최대 시장이며 향후 북미지역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포스코가 고급API강관 분야에서 처음으로 투자하여 설립한 USP가 북미지역 고객의 요구에 적극 부응해 고객과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존 서머 US스틸 회장은 “포스코와 세아제강과의 합작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준공은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은 물론, 관련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며 준공을 축하했다. 이날 준공한 USP 공장은 최대 두께 25.4mm까지의 강판을 소재로 24~64 인치의 대구경 (Large Diameter)강관을 생산할 수 있는 최신 설비를 갖췄다. API강관 생산에 필요한 소재인 열연강판은 포스코와 US스틸이 절반씩 공급할 계획이다.
신근순 기자
2009-11-03
-
두산인프라코어, 中 소형건설장비시장 본격 공략
중국 중대형 건설장비 시장에서 최고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www.doosaninfracore.com)가 밥캣과 함께 중국의 소형건설장비 시장 공략도 본격화 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3일부터 4일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고 있는 ‘BICES 2009(북경국제건설기계전시회)’에 밥캣과 함께 참가해 소형부터 대형까지의 풀라인업 건설장비와 어태치먼트류 등 총 30종의 건설장비들을 선보여 글로벌 종합 건설기계업체로서의 브랜드 파워를 높였다.
특히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전시장비 가운데 70% 가량을 밥캣 제품들로 전진배치하며 밥캣 브랜드의 대중국 마케팅 활동을 강화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앞으로 중국 내 최대 규모인 굴삭기 영업 네트워크와 밥캣의 브랜드 가치를 활용해 중국 소형건설장비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또한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전시회에서 23톤, 26톤급 굴삭기(DX230, DX260LC), 신형 휠로더(DL305/DL505) 등 내구성이 더욱 강화되고, 유럽시장 수준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갖춘 고급형 모델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대형 휠로더(M500-V), 굴절식 덤프트럭 등 다양한 고급형 장비들도 함께 전시했다.
중국공정기계협회(CCMA)가 주관하는 'BICES 2009’는 아시아 최대의 건설기계전시회로 올해는 60개국 800여개의 건설기계 관련업체가 참가했다.
고봉길 기자
2009-11-03
-
KETI, 지능형 그린자동차 기술 세미나
박진형 기자
2009-11-02
-
금호석유화학, 초고층용 복합창호 출시
금호석유화학은 초고층용 전용 창호 ‘PS-200TT’를 새롭게 출시했다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여닫이(Tilt&Turn)방식으로 PVC창호재와 알루미늄 소재를 결합한 복합창호 상품이다.
금호석유화학의 관계자는 “기존 제품의 성능과 외관을 향상시키고, 기밀(氣密) 성능과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는 수밀성능까지 극대화 시켰다”라며 특히 “3중 유리를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해 단열성을 강화시켰고 외관을 알루미늄 소재로 사용해 다양한 외관 색상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호석유화학 ‘휴그린’은 2006년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ABS창호를 국내 최초로 개발, 올초부터 창호재, 내장재, 기능재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박진형 기자
200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