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기술공사(사장직무대행 진수남)가 수소충전소의 안전성과 효율성 강화를 위해 수소에너지네트워크㈜(하이넷)와 협력, 안정적 운영과 고객 편의 향상을 논의하며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수소에너지네트워크㈜(하이넷, 대표 현철)와 20일 대전 공사 본사에서 ‘수소충전소 운영 고도화를 위한 정기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류회는 수소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양사 실무자들이 참여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충전소 운영 방안을 논의 했다.
이날 교류회에서는 △주요 기자재 성능 개선 및 설비 고장 저감 △유지보수비용 절감 △데이터 기반 예방정비 체계 구축 △고객 응대 매뉴얼 정비 △AI·빅데이터 활용 운영 방안 등을 집중 토의했다.
특히 수소충전소는 고압(700bar 이상)과 저온(-40℃ 이하) 환경에서 운영돼 설비 민감도가 높고, 고장 시 충전 중단과 시민 불편으로 즉시 연결될 수 있어 안정적 운영이 핵심으로 꼽힌다.
가스기술공사는 2019년 수소사업 진출 이후 액화수소충전소를 포함한 전국 70여 개 수소충전소와 4개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했다. 이 가운데 평택 수소생산기지는 수도권 남부 최대 규모의 개질수소 생산기지로, 수소버스 및 상용차 공급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총 3개 수소생산기지와 21개 충전소를 직접 운영하며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하이넷은 2019년 설립된 수소충전소 전문 운영기관으로, 현재 53개 충전소를 운영 중이며 서울 H국회, 당진 현대제철 부생수소 출하센터 등 대형 거점 시설 중심으로 수소 모빌리티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양사가 운영하는 충전소만 전국 약 220여 개소 중 약 30%를 차지해 협력의 중요성이 크다.
가스기술공사 관계자는 “수소충전소는 안전성과 효율성, 고객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 인프라”라며 “정기 기술교류회를 통해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업계 전반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하이넷 측도 “이번 협력은 탄소중립 시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공공 인프라 혁신의 시작”이라며 “지속적인 개선과 정부·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충전 인프라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30만 대와 충전소 660개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반 조성의 핵심은 단순한 시설 수 확대가 아니라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시스템 확보에 있다.
양 사는 이번 정기 교류회가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수소 인프라 품질을 끌어올리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길 기대하고 있다.